카테고리 없음

알기 쉬운 통계학 (4) - 기술통계와 추리통계

QCJ 2022. 2. 27. 21:55

기술통계와 추리통계는 보통 통계학 교과서에 보시면 앞 부분에 나오는 개념들인데요.

 

정확히 어떤 걸 뜻하는지 여기서 알아보도록 하겠습니다.

 

기술통계는 영어로 descriptive statistics라고 하는데요. 영어로 describe가 묘사하다라는 의미죠.

 

그래서 우리 앞에 놓인 데이터들을 요약해서 대표적인 숫자로 (여기에는 평균, 분산 등이 있을 수 있겠죠) 나타내고 어떤 특성을 가지는지 (평균이 높은지, 많이 퍼져 있는지... 특정 수치에 뭉쳐 있는지) 등을 알아보는 것을 기술통계라고 합니다.

 

예를 들면 아래와 같은 파이 차트(pie-chart)가 그 중 하나라고 할 수 있겠죠.

이와 반대로 추리통계는 영어로 inferential statistics라고 하는데 inference가 '추론'이라는 뜻입니다.

 

'추론'이라는 말에는 어떤 의미가 있을까요? 바로 위에 보시는 파이차트나 평균을 낸 것처럼 확실하게 직관적으로 결론이 눈에 보이지 않는다는 의미를 가지고 있습니다.

 

보통 우리가 배우는 통계학의 상당부분이 추리통계를 배우는 것이죠.

 

그리고 통계학교과서에 보면 추리통계를 '샘플' 즉 표본을 뽑아서 추정이나 예측을 하는 것으로 설명하고 있습니다.

 

여기서 중요한 용어가 나왔는데요. 바로 표본(sample)입니다.

 

이 용어는 정말 매우 중요한데요. 여기에 대해서는 분량상 다른 포스트에서 좀 더 자세히 설명드리도록 하겠습니다.